java 22

[Effective Java] Chapter 5

Chapter 5 제네릭 제네릭을 지원하기 전에는 컬렉션에서 객체를 꺼낼 때마다 형변환을 했다. 그래서 누군가 실수로 엉뚠한 타입의 객체를 넣어두면 런타임에 형변환 오류가 나곤 했다. 반면, 제네릭을 사용하면 컬렉션이 담을 수 있는 타입을 컴파일러에게 알려주게 된다. 그래서 컴파일러는 알아서 형변환 코드를 추가할 수 있게 되고, 엉뚱한 타입의 객체를 넣으려는 시도를 컴파일 과정에서 차단햐여 더 안전하고 명확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준다.Item 26 로 타입은 사용하지 말라제네릭 클래스, 제네릭 인터페이스: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선언에 쓰이는 타입 매개변수제네릭 타입: 제네릭 클래스와 제네릭 인터페이스를 통틀어 칭한다 각각의 제네릭 타입은 일련의 매개변수화 타입을 정의한다. 먼저 클래스 이름이 나오고, 이어서..

[Effective Java] Chapter 4

Chapter 4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클래스와 인터페이스는 자바 언어의 심장과도 같다. 그러니까 열심히 하자.item15 클래스와 멤버의 접근 권한을 최소화하라 어설프게 설계된 컴포넌트와 잘 설계된 컴포넌트의 가장 큰 차이는 바로 클래스 내부 데이터와 내부 구현 정보를 외부 컴포넌트롤부터 얼마나 잘 숨겼느냐다. 정보 은닉, 혹은 캡슐화라고 하는 이 개념은 소프트웨어 설계의 근간이 되는 원리다.  정보 은닉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시스템의 개발 속도를 높인다.시스템 관리 비용을 낮춘다.정보 은닉 자체가 성능을 높여주지는 않지만, 성능 최적화에 도움을 준다.완성된 시스템을 프로파일링해 최적화할 컴포넌트를 정한 다음 다른 컴포넌트에 영향을 주지 않고 해당 컴포넌트만 최적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소프트웨어의 재사용..

[Effective Java] Chapter 3

Chapter 3 모든 객체의 공통 메서드 Object에서 final이 아닌 메서드는 모두 재정의를 염두에 두고 설계된 것이라 재정의 시 지켜야하는 일반 규약이 명확히 정의되어있다. 메서드를 잘못 구현하면 대상 클래스가 이 규약을 준수한다고 가정하는 클래스를 오동작하게 만들 수 있다.Item 10 equals는 일반 규약을 지켜 재정의하라 아래의 상황에서는 재정의를 최대한 피하도록하자!각 인스턴스가 본질적으로 고유하다.값을 표현하는 게 아니라 동적하는 개체를 표현하는 클래스가 여기 해당한다.인스턴스의 '논리적 동치성(logical equality)'을 검사할 일이 없다.논리적 동치성을 원하지 않다면 재정의하지 않아도 된다.상위 클래스에서 재정의한 equals가 하위 클래스에도 딱 들어맞는다.대부분의 Se..

[Effective Java] Chapter 2

Chapter 2Item 1 생성자 대신 정적 팩터리 메서드를 고려하라정적 팩터리 메서드가 생성자 보다 좋은 장점 다섯가지.- 이름을 가질 수 있다.  정적 팩터리는 이름만 잘 지으면 반환될 객체의 특성을 쉽게 묘사할 수 있다. // 생성자BigInteger(int, int, Random)//정적 팩터리 메서드BigInteger.probablePrime  - 호출될 때마다 인스턴스를 새로 생성하지는 않아도 된다. 이는 인스터스를 미리 만들어 놓거나 새로 생성한 인스턴스를 캐싱하여 재활용하는 식으로 불피요한 객체 생성을 피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인 Boolean.valueOf(boolean) 메서드는 객체를 아예 생성하지 않는다. (?)  반복되는 요청에 같은 객체를 반환하는 식으로 정적 팩터리 방식의 ..

[DDD] chapter 10

Chapter 10 10.1 시스템 간 강결합 문제 외부 서비스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트랜잭션 처리가 애매해진다. 성능이 비교적 감소한다. (외부 서비스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위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이벤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10.2 이벤트 개요 이벤트란? 과거에 벌어진 어떤 것. 사용자가 암호를 변경했을 때 > "암호를 변경했음 이벤트"가 벌어졌다고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주문을 취소했을 때 > "주문을 취소했음 이벤트"가 벌어졌다고 할 수 있다. 도메인의 상태 변경과 관련된 요구사항들을 이벤트를 통해 구현할 수있다. "주문을 취소할 때 이메일을 보낸다."라는 요구사항에서 "주문을 취소할 때"는 주문이 취소 상태로 바뀌는 것을 의미하므로 "주문 취소됨 이벤트"를 이용..

programming/DDD 2024.03.09

[DDD] chapter 1

chapter 1 1.1 도메인이란? 도메인: 소프트웨어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영역 한 도메인은 다시 하위 도메인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의 하위 도메인은 다른 하위 도메인과 연동하여 완전한 기능을 제공한다. 특정한 도메인을 위한 소프트웨어라고 해서 모든 기능을 직접 구현하지는 않는다. 하위 도메인을 어떻게 구성할지 여부는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도메인마다 고정된 하위 도메인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1.2 도메인 전문가와 개발자 간 지식 공유 요구사항의 중요성 개발자는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설계하여 코드를 작성하고 테스트하고 배포한다. 요구사항을 처음부터 제대로 설계하지 않으면 코드를 수정해야한다. 잘못 개발한 코드를 수정하는 것은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 요구사항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설계하는 방법 개발..

programming/DDD 2024.01.13

[MSA] Kafka 오류 해결... - Kafka를 완벽하게 삭제하는 방법

3주동안 멘탈 갈려서 쓰는글... 이번 글은 참고가 아니라 그냥 일기장 수준으로 내 신세한탄이 될 것이다... Inflearn에서 배운 kafka버전은 2.13이었다. 지금 시점 기준 최선 버전은 3.X여서 바로 2.13을 찾아 다운받았다. 일단 앞자리가 바뀌면 무슨 에러가 날지 모른다는 것을 비트코인 자동매매 만들면서 살로 느꼈기에... 버전은 최대한 맞춰봤다. 중요한건 강의자료대로 시행했다가 에러가 계속 났다는 것... sink에게 이상한 값을 보냈다.. 하... 그래서 kafka 파일을 전부 삭제하고 시행했는데.. 이상하게도 topic이 그래도 남아있었다. 그래서 connector파일과 jdbc파일까지 전부 삭제.. 그래도 이놈의 topic은 계속 나오기 시작했다... 하... 그래서 공식 문서를 ..

programming/MSA 2023.07.31

[KNU_30 개발일기] ORM을 사용해 객체지향적인 웹페이지를 설계하자 - Hibernate, Entity, Repository를 활용한 데이터베이스 연동 및 설계

1. 개요 Swagger를 설정하고 나서 내가 개발하고 있는 웹페이지에 적용할 기술이 또 뭐가 있을지를 생각해봤다. 많은 구글링을 통해 ORM이라는 존재를 알게 됐고, Java를 사용하는 Spring boot에 필요한 JPA를 공부하기 시작했다. 전에는 Mybatis와 Mapper를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방식을 사용했는데, Spring Data JPA와 Entity로 개발을 해보니 확실이 편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물론 각각의 장단점이 있지만, 쿼리를 객체지향적으로 조작하고 유지보수에 ORM이 강하다는 점은 확실이 알 수 있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쿼리라면 치가 떨리던 나기에 ORM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종속성 자체가 줄어든다는 강점을 주었다. 이번에는 ORM을 적용하기 위해 기본적인 E..

기록지/KNU_30 2022.12.15

[KNU_30 개발일기] 낡은 웹페이지의 업데이트 시작 - Swagger를 활용한 API 개발 명세 자동화

1. 개요 약 1년전 KNU_30이라는 강남대학교 30주년 이벤트 페이지를 개발한 경험이 있다. 학교에서 서버를 지원해주는 사업이었기 때문에 신나게 서버를 가지고 논 기억이 난다. 단순한 일회성 페이지로 개발되었지만, 프론트 개발을 주도한 친구가 괜찮은 UI를 개발했기 때문에, 동아리도 소개하고 영상들도 첨부하는 페이지가 되었다. 오랜만에 들어가보니 아직도 서버는 구동중이고 방문 로그는 쌓여있는걸 확인할 수 있었다. 서버 한 대가 아깝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관리자 페이지를 만들어 기본적인 데이터 CRUD를 개발하고 싶었다. 교수님을 따로 찾아 봬었다. 팀을 모집하고 장기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오늘은 그 개발의 첫 단계, Swagger를 활용한 API 개발 명세 자동화이다. 사실 별거 없지만, 그래..

기록지/KNU_30 2022.12.12

[공부 정리] Tomcat서버의 코드 생성과정 - (Eclipse, Tomcat)

1. 개요 웹 프로그래밍 수업이 시작되었다! 지금까지는 Django를 활용해 공짜 HTML탬플릿과 간단한 코드로 페이지를 만드는게 다였지만 드디어 서버와 같은 중요한 개념에 대해 확실하게 배울 기회가 생긴 것이다. 에브리타임에 강의평도 매우 좋고 선배들이 매우 추천해주시는 교수님의 수업을 들을 수 있어서 매우 다행이었고 첫 시간부터 왜 이 교수님께서 선배들에게 최고의 교수님이라는 말을 들으시는지 알 수 있었다. 서버에 올라오는 파일들의 개념과 컴파일 과정을 정확하게 알려주셨다. 다음은 내가 배운 내용을 정리해본 것이다. 2. 내용 - 웹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처음 배운 내용은 웹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차이점이다. 이를 알아야 이후에 배운 아주 중요한 내용인 코드가 서버에서 실행되는 과정을 이해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