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 103

[C언어, C++] '%' 문자 출력 - (서식문자)

1. 개요 이 문제는 백준 알고리즘 4344번을 풀면서 겪은 문제이다. 문제를 풀기 위해선 '%' 문자를 cmd창을 활용하여 출력해야 했는데, printf("") 함수 안에 %을 넣는 방식으로는 출력되지 않았다. 다음은 자세한 설명이다. 2. 문제 나는 cmd창에 40.000% 라는 문자열을 출력해야 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작성하였다. #include int main(void) { printf("40.000%"); return 0; } 그러나 위와 같이 코드를 작성하면 다음과 같이 출력된다. 40.000 '%' 가 출력되지 않은 것이다. 그래서 내가 사용한 방법은 이스케이프 시퀀스 문자를 출력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방법인, 앞에 \를 넣는 방법이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코드를 짜봐았다. #in..

[백준 알고리즘] 4673번 - 셀프 넘버 (qsort()의 사용)

1. 문제 및, 실행결과 예시 단계별로 문제 풀기에서 첫 함수 카테고리 문제이다. 15596번이 빠진것에 의아해하시는 분들이 있을 수도 있지만, 이 문제를 올리기에는 너무 쉽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문제를 풀면서 우리 교수님이 하셨던 말씀이 떠올랐다. "프로그래머는 자신이 모르는 분야여도, 공식이나 일반식이 주어진다면 그것을 코드로 구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처음엔 그저 그런 이야기라고 생각했지만, 이 문제를 풀면서 왜 그런 말을 해주셨는지 뼈저리게 느끼게 되었다. 다음은 문제와 실행결과 예시이다. 출처: https://www.acmicpc.net/problem/4673 4673번: 셀프 넘버 문제 셀프 넘버는 1949년 인도 수학자 D.R. Kaprekar가 이름 붙였다. 양의 정수 n에 대..

[백준 알고리즘] 4344번 - 평균은 넘겠지 (백준 알고리즘 예제 입력 가이드)

1. 문제, 실행결과 예시 이번 문제는 푸는 방식이 그렇게 어렵진 않았다...... 다만 백준알고리즘에서 입력받는 형식을 모른다면, 조금 버벅거릴 수 있을 것 같다. 문제를 풀이하면서 이 내용을 정리하고 싶다. 다음은 문제와 실행결과 예시이다. 출처: https://www.acmicpc.net/problem/4344 4344번: 평균은 넘겠지 문제 대학생 새내기들의 90%는 자신이 반에서 평균은 넘는다고 생각한다. 당신은 그들에게 슬픈 진실을 알려줘야 한다. 입력 첫째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C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각 � www.acmicpc.net 문제를 보면 알겠지만, 그렇게 어려울 것 같은 문제는 아니다. 그러나 예제 입력을 보면 한 줄에 입력되는 것 같아 어려워 보인다...... 이는 ..

[백준 알고리즘] 8958번 OX퀴즈

1. 문제, 실행결과 예시 이번 문제는 나름 간단하게 풀었던 문제이다. 근데 정답률은 별찍기 보다 훨씬 낮다...... 왜지...... 예상해 보자면 아마 문자열 처리 떄문에 그런 것일 수도있다. 흠...... 그것만 빼면 나름 수월하게 풀었다고 생각한다. 다음은 문제의 설명이다. 출처: https://www.acmicpc.net/problem/8958 8958번: OX퀴즈 문제 "OOXXOXXOOO"와 같은 OX퀴즈의 결과가 있다. O는 문제를 맞은 것이고, X는 문제를 틀린 것이다. 문제를 맞은 경우 그 문제의 점수는 그 문제까지 연속된 O의 개수가 된다. 예를 들어, 10번 문제의 � www.acmicpc.net 특이한 점은 O의 갯수마다 내용이 중첩 된다는 점이다. 일단 1은 무조건 더해지고, 그..

[백준 알고리즘] 10996번 - 별 찍기 21

1. 문제, 실행결과 예시 그 전에 풀었던 문제(2523번, 2446번) 들에 비하면, 나름 쉽게 풀었다고 생각한다. 규칙이 여렵다기보단, 어떤 방식으로 해결하는지가 더 중요한 문제였다고 생각한다. 다음은 문제 안내와 실행결과 예시이다. 출처: https://www.acmicpc.net/problem/10996 10996번: 별 찍기 - 21 예제를 보고 규칙을 유추한 뒤에 별을 찍어 보세요. www.acmicpc.net 이걸 공백을 출력하고, 별을 출력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겠지만, 두줄을 하나의 덩어리로 취급하고, 윗줄 아랫줄의 출력 갯수를 정하면 된다. 다음은 풀이 과정이다. 2. 문제 풀이 규칙은 나름 쉽다. 일단 입력되는 값이 input이라고 했을 때, input * 2이 출력되는 줄의 값이고..

[백준 알고리즘] 별찍기-13, 별찍기-9 (2523, 2446)

1. 문제, 실행결과 예시 별찍기는 반복문을 활용하는 가장 대표적인 문제라고 생각한다. 사실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수학적으로 규칙을 구하고, 일반화를 시켜 그 식을 적용하는 코드를 짜야할 때가 많은데, 아마 별찍기가 이런 부분을 연습하는데 있어서 정말 좋은 문제라고 생각한다(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사실 스택을 풀다가 갑자기 별찍기를 푸는 이유는, 단계별로 풀기에서, 실습 1번부터 차례로 푸는 것을 목표로 잡았기 때문이다.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 코딩테스트를 대비하기 위함도 있고, 나름의 목표를 잡는 것도 좋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다음은 이번에 푼 문제와 실행결과 예시이다. 출처: https://www.acmicpc.net/problem/2523 2523번: 별 찍기 - 13 첫째 줄부터 2×N-1..

[자료구조] - Stack의 구현( C, C++ )

1. 개요 항상 무언가를 공부하거나 새로운 지식을 학습할 때, 알아야하는 것은 내가 학습하려는 것이 어디에 사용되고, 본질이 무엇인지에 대해서이다. 그러나 이것이 내가 공부하는 모든 지식에 적용되지는 않는 것 같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자료구조이다. (적어도 나에게는) 자료구조라는 과목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유튜브에 '개발'이나 '프로그래밍' 이라는 키워드로 3분동안만 검색해봐도 알 수 있는 사실이다. 그렇게 악명 높은 코딩 테스트도 가장 기초가 되는 부분이 바로 자료구조라는 사실은 조금만 찾아봐도 알 수 있다. 그러나 나는 아직도 내가 배우는 이 자료구조들이 실무에서 어떤 모습으로 사용되는지는 알지 못한다. 그저 원리와 구현 방법 그리고 이론으로 설명되는 활용 방법과 응용 문제들을 푸는 수준이다. "이런..

[백준 알고리즘] 4949번 - 균형잡힌 세상 (런타임에러)

1. 문제, 실행결과 예시 이번 문제의 알고리즘은 의외로 간단했다. 오히려 나를 괴롭힌것은 런타임에러와 문자열 처리 ㅠㅠ 문자열을 처리한다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지 알게되었다 ㅠㅠ 사실 오래전 부터 문자열을 처리하는 문제는 일단 겁을 먹었는데, 그 습관이 아직까지 온것 같다. 본론에서 다시 얘기할 것이고 문제를 먼저 보도록 하자. 출처: https://www.acmicpc.net/problem/4949 4949번: 균형잡힌 세상 문제 세계는 균형이 잘 잡혀있어야 한다. 양과 음, 빛과 어둠 그리고 왼쪽 괄호와 오른쪽 괄호처럼 말이다. 정민이의 임무는 어떤 문자열이 주어졌을 때, 괄호들의 균형이 잘 맞춰져 있는지 판단 www.acmicpc.net 다시 말하지만 알고리즘은 간단하다 저번문제(9012번)에서 대..

[C언어, C++] scanf() 문자 입력 문제 - 입력 버퍼

1. 개요 이 카테고리는 내가 겪은 문제들, 그리고 이 문제들을 해결하는 과정을 정리하고자 만든 카테고리이다. 사실 엄청난 문제들도 아니다 ㅎㅎ 사소한 문제가 대부분이지만, 때론 사소한 문제들이 극심함 스트레스를 만들기도 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의 스트레스 해소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2. 문제 만약 내가 두개의 문자를 입력받고 그 프로그램을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했다고 가정해보자 아마 다음과 같은 코드가 만들어 질 것이다. *#include int main(void) { char value1, value2; scanf("%c", &value1); scanf("%c", &value2); printf("첫 번째 문자%c\n", value1); printf("두 번째 문자%c", value2);..

[백준 알고리즘] 9012번 - 괄호 검사 코드

1. 문제, 실행결과 예시 이번 문제는 stack()의 활용 문제이다. 이전 문제(10773번)는 기본적인 스택의 기능을 확인해보는 문제라면, 이번 문제는 스택을 가지고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 같다. (적어도 나의 지식 한에서) 출처: https://www.acmicpc.net/problem/9012 9012번: 괄호 문제 괄호 문자열(Parenthesis String, PS)은 두 개의 괄호 기호인 ‘(’ 와 ‘)’ 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문자열이다. 그 중에서 괄호의 모양이 바르게 구성된 문자열을 올바른 괄호 문자열(Valid PS, VPS)�� www.acmicpc.net 다행이도 소괄호만 해당하는 괄호 문자열을 다루는 문제였다 ㅎㅎ 사실 전에 중괄호와 대괄호까지 다뤄보는 문제를 마주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