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프 3

[백준 알고리즘] 1197번 - 최소 스패닝 트리 (크루스칼 알고리즘)

1. 문제 및 예시 실행 결과 solved.ac의 CLASS가 올라갈수록 모르는 알고리즘이 많다. 어제 토스 코테 한번 찍먹하고 많이 반성하게 됐다. 모르는 것을 공부하는게 맞는 것 같다. Union-find를 활용한 크루스칼 알고리즘을 공부하고 적용해보았다. 한큐에 초록 글자가 떠서 너무 좋았다. 출처: https://www.acmicpc.net/problem/1197 1197번: 최소 스패닝 트리 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V(1 ≤ V ≤ 10,000)와 간선의 개수 E(1 ≤ E ≤ 100,000)가 주어진다. 다음 E개의 줄에는 각 간선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세 정수 A, B, C가 주어진다. 이는 A번 정점과 B번 정점이 www.acmicpc.net 2. 풀이과정 문제를 잘게 나눠봤다. 1. 문..

[자료구조] - C언어를 활용한 그래프의 구현

1. 개요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 코딩테스트를 봤다. 사실상 네문제를 풀었지만... 제출을 못해서 세문제... 처참한 결과였다. 정식적으로 알고리즘을 공부하려다 보니 DFS와 BFS를 만나게 되었는데, 이를 공부하면서 그래프라는 자료구조를 또 만나게 되었다. 사실 DFS 알고리즘인지를 모르고 사용한 적이 있었는데, 이를 더 공부해볼 생각이다. 다음은 내가 푼 문제이다. apape1225.tistory.com/61 [백준 알고리즘] 1012번 - 유기농 배추 (DFS 알고리즘) 1. 문제 및 예시 실행결과 이 글의 소제목이 DFS 알고리즘이지만, 나는 DFS알고리즘을 모르는 상태이다...... 그냥 내가 생각한 방식대로 풀었더니 그것이 DFS 알고리즘이었던 것이다. 다른점이 있 apape1225.tistor..

Python을 활용한 서울 평균온도 분석하기

1. 개요 Python으로 데이터를 다루는 것은 작년 말(2019.12월)에 얇은 책 한권으로 학습한 기억이 있다. 당시 책에 있는 내용은 csv형태의 데이터를 Python으로 가공하는 형태의 내용이었는데, 개인적으로 흥미롭게 공부했다. 내가 배우는 언어로 무엇을 할 수 있을지를 경험하기 위해 공부한 분야이기 때문에 그렇게 깊은 학습을 하지는 못하였지만 궁금한 점을 해결할 수준, 미래에 데이터 분석이라는 분야를 만났을 때 구글링을 통해 기억해내고 학습을 이어갈 수 있는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어쩌다 발견한 지구온도상승에 대한 뉴스를 보고 그 뉴스의 댓글창에 열심히 토론을 하고있는 댓글들을 보며 직접 평균 온도를 계산하여 그래프로 확인하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에 그래프를 그려보았다. 나는 통계를 ..